맨위로가기

순종 (대한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종(純宗, 1874년 ~ 1926년)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의 마지막 임금으로,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이다. 1875년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1897년 대한제국 성립 후 황태자가 되었다.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로 황제에 즉위했으나, 일본의 무력 개입으로 통치력이 약화되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대한제국이 멸망하면서 창덕궁 이왕으로 불리며 여생을 보냈다. 1926년 사망했으며, 6·10 만세 운동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한국의 군주 - 고종 (대한제국)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며,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하여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열강의 각축 속에서 국권을 잃고 강제 퇴위당했다.
  • 일제강점기 이왕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일제강점기 이왕 - 이왕가
    이왕가는 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된 후 황족들이 일본 왕실 제도에 편입되면서 생긴 호칭으로, 고종과 순종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다양한 삶과 논란, 법적 지위 상실 후 후손들의 활동과 분쟁을 겪었다.
  • 대한제국 고종의 자녀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대한제국 고종의 자녀 - 의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자 순종의 이복 동생인 의친왕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서 독립운동에 투신,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한 독립운동가이다.
순종 (대한제국)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순종 황제, 대한제국 군복 착용 (1910년경)
이름이척
이척(李坧)
군방(君邦)
정헌(正軒)
시호문온무령돈인성경효황제(文溫武寧敦仁誠敬孝皇帝)
묘호순종(純宗)
별호융희황제(隆熙皇帝)
출생일1874년 3월 25일
출생지창덕궁 관물헌, 한성부, 조선
사망일1926년 4월 25일
사망지창덕궁 대조전 흥복헌, 경성부, 일제강점기 조선
능호유릉(裕陵)
능 위치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아버지고종
어머니명성황후 민씨
종교유교(성리학)
왕조이씨
재위
대한제국 황제1907년 7월 19일 ~ 1910년 8월 29일
조선국 왕세자1875년 3월 25일 ~ 1895년 1월 12일
왕태자1895년 1월 12일 ~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황태자1897년 10월 12일 ~ 1907년 7월 19일
창덕궁 이왕1910년 8월 29일 ~ 1926년 4월 25일
배우자
배우자순명효황후 민씨 (사망 1904년)
순정효황후 윤씨 (1907년 결혼)
연호
연호융희(隆熙, 1907년 - 1910년)
계승 정보
전임자고종 (황제)
효명세자 영 (왕세자)
후임자군주제 폐지 (일본에 의한 한국 합병) (황제)
영친왕 이은 (황태자, 창덕궁 이왕)
내각총리대신
내각총리대신이완용
박제순

2. 생애

순종의 장례식


는 '''척'''(坧), 본관전주, 는 '''군방'''(君邦), 는 '''정헌'''(正軒)이다.[24] 묘호는 '''순종'''(純宗), 시호는 '''문온무령돈인성경효황제'''(文溫武寧敦仁誠敬孝皇帝)이다.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이며, 고종의 장성한 자녀 중 유일한 적자였다. 대한제국 병합 이후에는 사실상 일본 천황의 신하로서 왕공족이왕가의 수장인 '''창덕궁 이왕'''(昌德宮 李王)으로 불렸다.

1898년 김홍륙이 일으킨 커피 독살 미수 사건으로 의식을 잃고 중태에 빠졌으며,[21] 이 사건으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1907년 고종이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일본의 압력을 받아 강제 퇴위당하자, 7월 19일 순종이 황제로 즉위하였다. 연호를 융희(隆熙)로 정하고 8월 2일부터 사용하였으며, 8월 27일 덕수궁 돈덕전에서 즉위식을 거행하였다.[28]

1910년 8월 22일, 이완용은 순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일 병합 조약에 서명하였다. 이로써 대한제국은 멸망하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다. 순종은 '창덕궁 이왕'으로 불리며 창덕궁에 거처하게 되었다.

1926년 4월 25일 오전 6시, 심장마비로 승하하였다. 고종의 홍릉 근처인 유릉에 안장되었다.[13] 순종의 장례일에 맞춰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1 운동 만큼 확산되지는 못했지만, 민족주의 계파와 사회주의 계파가 합작한 신간회가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2. 1. 탄생과 세자 책봉

는 척(坧), 본관전주, 는 군방(君邦), 는 정헌(正軒)이다.[24] 1874년(고종 11년) 2월 8일, 창덕궁 관물헌에서 고종과 명성황후의 차남으로 출생하였다.[25] 명성황후는 순종을 포함하여 4남 1녀를 낳았지만 모두 일찍 죽었고 성인이 된 자녀는 순종이 유일하다.

1875년(고종 13년) 2월 18일, 왕세자에 책봉되었다.[26] 1882년(고종 20년) 여은부원군 민태호의 딸 민씨(순명효황후)와 혼인하였다.

1895년 1월, 홍범 14조 반포와 동시에 왕태자로 격상되었고, 같은 해 10월 8일 을미사변으로 어머니 명성황후를 잃었다.

2. 2. 황태자 시절

순종은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이며, 고종의 자녀 중 유일한 적자였다. 이름은 척(坧), 자는 군방(君邦), 호는 정헌(正軒)이다.[24]

1874년에 태어나 이듬해인 1875년 어머니 민비의 정략에 따라 청나라의 승인을 받고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882년에는 여흥 민씨와 혼례를 올렸다.[18] 1897년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황태자로 격상되었고,[3] 1898년 대한제국 군대의 원수로 임명되었다.[4]

1898년에는 아편이 들어간 커피를 마시는 독살 시도(독차사건)를 당해 한때 의식을 잃는 중태에 빠지기도 했다.[21] 이 사건으로 순종은 건강이 악화되었다.

1904년 첫 번째 부인과 사별한 순종은 1906년 해평 윤씨 윤정순과 재혼하였다.[5]

2. 2. 1. 암살 미수 사건

1898년(광무 2년) 9월 11일, 김홍륙이 공홍식과 김종화를 시켜 고종과 황태자(순종)에게 해를 가할 목적으로 커피에 다량의 아편을 넣었다. 고종은 커피 향이 이상함을 알고 곧바로 땅에 부었으나, 황태자는 알아차리지 못하고 다량을 복용하였다. 이로 인해 황태자는 이가 빠져 틀니를 끼고 혈변을 자주 누는 등 건강이 악화되었다. 김홍륙은 같은 해 10월 10일, 교수형에 처해졌다.[27]

이 사건으로 순종은 모든 치아를 잃었고, 평생 위궤양과 위축성 신장염에 시달렸으며,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몸이 되었다. 또한 행동과 언행에도 영향을 미쳐 당시 왕실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과 왕실 가족과 교류가 있었던 이사벨라 버드가 남긴 기록에는 경미한 지적 장애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광수 또한 "백치"라고 표현했다.

2. 3. 즉위와 대한제국의 멸망

1907년 고종이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일본의 압력을 받아 강제 퇴위당하자, 7월 19일 순종이 황제로 즉위하였다. 순종은 연호를 융희(隆熙)로 정하고 8월 2일부터 사용하였다. 8월 27일에는 덕수궁 돈덕전에서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였다.[28]

순종 즉위 당시 대한제국은 일본의 압력으로 국권이 심각하게 침해된 상태였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당하고 한국통감부가 설치되어 통감정치가 시작되었다. 1907년에는 한일신협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의 내정까지 일본의 간섭을 받게 되었다.

순종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본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대한제국의 자주성을 지키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대한제국군 해산기유각서 체결, 남한 대토벌 작전 등을 통해 대한제국의 군사력과 사법권을 박탈하고, 항일 의병 운동을 탄압하며 국권 침탈을 가속화했다.

사건날짜내용
러일 전쟁 발발
일본군, 인천, 마산, 원산 상륙
서울, 덕수궁 점령
1904년 2월 8일일본군의 대한제국 침략 시작
한일의정서 체결1904년 2월 23일대한제국 내 일본군 주둔
제1차 한일 협약 체결1904년 8월 22일고문정치 시작
대한제국군 감축1905년 4월 16일친위대 해산, 시위대, 진위대 감축
화폐정리사업1905년 ~ 1909년조선 후기 상업 자본 몰락, 화폐 경제 붕괴, 일본 화폐에 예속
을사늑약 체결1905년 11월 17일대한제국 외교권 박탈, 한국통감부 설치, 통감정치 시작
고종 양위 사건1907년 7월 24일고종 강제 퇴위, 순종 즉위
정미7조약 체결1907년 7월 24일차관정치 시작
대한제국군 해산1907년 8월 1일시위대, 진위대 해산, 남대문 전투, 정미의병 발발
기유각서 체결1909년 7월 12일일본에 사법권, 교도행정권 위탁
남한 대토벌 작전1909년 9월 1일의병 소탕, 항일의병 만주 이동
한일약정각서 체결1910년 6월 24일일본에 경찰권 위탁
한일병합조약 체결1910년 8월 29일대한제국 멸망, 일제강점기 시작



1910년 8월 22일, 이완용은 순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일 병합 조약에 서명하였다. 이로써 대한제국은 멸망하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다. 순종은 ''''창덕궁''' '''이왕''''으로 불리며 창덕궁에 거처하게 되었다.

2. 3. 1. 국권 피탈의 가속화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고종이 일본과 친일파의 강요로 강제 퇴위당하고, 1907년 7월 19일 순종이 즉위하면서 국권 피탈이 가속화되었다.[28] 순종은 즉위와 함께 연호를 '''융희'''(隆熙)로 정하고, 8월 2일부터 사용하였다.

이 무렵 일본은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여 대한제국의 후견국을 자처하며 한일병합의 기반을 다졌다. 일본은 한국통감부를 설치하고 이토 히로부미를 초대 통감으로 임명하여 대한제국의 경제를 예속시키고, 한일신협약 체결을 강요했다.

이어서 대한제국군 해산을 단행하여 대한제국의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이 조치에 반발하여 정미의병이 일어나는 등 전국적으로 의병 운동이 확산되었다. 또한, 일본은 신문지법을 제정하여 대한매일신보를 비롯한 항일 언론을 통제하고 발행인들을 탄압하였다.

1909년 7월, 소네 아라스케기유각서 체결을 강요하여 대한제국의 사법권과 교도 행정권을 빼앗았다. 9월에는 남한 대토벌 작전을 실시하여 호남 지방의 의병들을 대대적으로 토벌하였다. 같은 해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는 하얼빈에서 안중근에게 암살당했다.(→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대한제국의 실권을 장악한 이후, 일본은 대한제국의 정치, 경제, 사법, 행정, 외교, 군사 등 모든 부분에서 행정 권한을 박탈하고, 내각회의를 통해 대한제국 병합을 결정했다.

2. 3. 2. 퇴위

1910년(융희 4년) 일본은 순종에게 한일 병합 조약에 공식적으로 서명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러나 순종은 조약에 끝까지 동의하지 않았으며, 8월 22일 당시 총리대신인 이완용이 대신 서명하였다.[9][10]

이로써 대한제국일본 제국에 합병되면서 멸망하였다. 아울러 역사상 왕조는 대한제국을 끝으로 소멸하였으며 전제군주정이 붕괴되었고, 이후 순종은 모든 권한을 잃고 망국의 한을 품은 채 ''''창덕궁''' '''이왕''''이라 불리며 창덕궁에 거처하였다.[11]

일본 정부의 개입으로 순종의 대한제국에 대한 통치는 법적으로는 존재했으나 사실상 종식되었고, 3년 만에 사실상 무력해졌다.

2. 4. 퇴위 이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순종은 황제에서 왕으로 강등되어 '창덕궁 이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순종과 순정효황후는 사실상 창덕궁에 감금된 채 여생을 보냈다.[12][7]

순종은 매우 신경질적이었으며, 기상, 목욕, 취침 시간은 직접 시계를 보고 정각에 맞추었다. 평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는 당구를 즐겼고, 저녁에는 축음기를 들었다. 고종처럼 기억력이 뛰어나 알현한 사람의 이름을 잊지 않았다고 한다.[18] 임피리얼호텔(帝国ホテル)의 초대 요리장 요시카와 카네키치(吉川兼吉) 부자의 프랑스 요리를 즐겨 먹었다.[18]

1917년 11월, 창덕궁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낙선재로 거처를 옮겼다. 이완용고종이 거주하는 덕수궁으로 이전을 제안했지만, 순종은 “천황 폐하께서 주신 창덕궁이므로 옮길 수 없다”라고 말하며 질책했다. 이후 2년간 창덕궁 수리가 끝날 때까지 낙선재에서 생활했다.[18]

2. 4. 1. 일본 방문

1917년 6월, 순종은 여행이라는 명목으로 도쿄를 방문하여 일본 천황을 알현하라는 강요를 받았다. 순종의 일본 방문은 첫 해외 방문이기도 했다.

6월 8일, 경성을 떠나 부산으로 간 순종은 6월 9일 시모노세키에 도착하였다. 11일에는 나고야에, 12일에 도쿄에 도착하여 하세가와 요시미치의 알현을 받고 14일에 다이쇼 천황데이메이 황후를 만나 오찬에 참석한 뒤, 16일 도리이자카에 있는 왕세자궁을 방문하여 영친왕을 만났다.[22]

6월 23일과 24일에는 교토에 머물렀으며 6월 28일 조선으로 귀국하였다.[22]

순종실록부록일본어의 기록에 따르면 순종은 다음과 같은 행적을 보였다.[22]

  • 1917년 6월 8일: 남대문역에서 특별열차를 타고 도쿄로 갔다.
  • 1917년 6월 14일: 황궁에서 천황과 황후를 봉황문에서 알현하고 현소에 참배하였으며, 동궁의 처소를 방문하였다.


다이쇼(大正) 6년(1917년) 6월, 순종은 일본을 방문하여 10년 전에 한국을 방문했던 다이쇼 천황(大正天皇)을 알현하는 형식으로 재회했다.[18]

2. 4. 2. 사망

1926년 4월 25일 오전 6시에 심장마비로 승하하였다. 고종의 홍릉 근처인 유릉에 안장되었다.[13]

순종의 장례식 날짜에 맞추어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1 운동 만큼 확산되지는 못했지만 이를 계기로 민족주의 계파와 사회주의 계파가 합작한 신간회가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묘호는 '''순종'''(純宗)이며 1926년 5월 1일 이왕직 장관 민영기가 제안한 순종, 경종(敬宗), 성종(誠宗) 중 수망(首望)대로 결정되었다.

1926년 6월 10일 거행된 그의 국장일제강점기에 대한 6·10 만세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13]

3. 가족 관계

colspan="2" |본관이름생몰년부모비고
220x220픽셀
고종 태황제전주
1852년 - 1919년흥선헌의대원왕
순목대원비 민씨
조선 제26대 국왕
대한제국 초대 황제
명성태황후 민씨여흥자영
玆暎[29]
1851년 - 1895년여성부원군 민치록
한창부부인 이씨[30]
정후
202x202픽셀
순명효황후 민씨여흥-1872년 11월 8일
(음력 10월 20일) - 1904년 10월 23일 (31세)
(음력 9월 28일)
여은부원군 민태호
진양부부인 송씨
-
계후
202x202픽셀
순정효황후 윤씨해평-1894년 9월 7일
(음력 8월 20일) - 1966년 2월 3일 (71세)
해풍부원군 윤택영
경흥부부인 유씨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 부친: 고종(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
  • * 외조부: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년 12월 21일 – 1898년 2월 22일)
  • * 외조모: 순목대원비 민씨(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
  • 모친: 명성황후 민씨(1851년 11월 17일 – 1895년 10월 8일)
  • * 외증조부: 민치록 여성부원군(1799년–1858년)
  • * 외증조모: 한창부부인 이씨(1818년–1874년)
  • 배우자:
  • * 순명효황후 민씨(1872년 11월 20일 – 1904년 11월 5일)
  • * 순정효황후 윤씨(1894년 9월 19일 – 1966년 2월 3일)

4. 순종이 등장하는 작품

순종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4. 1. 드라마

4. 2. 영화

5. 연호

(隆熙)원년2년3년4년1907년1908년1909년1910년정미무신기유경술


참조

[1]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3] 웹사이트 https://db.history.g[...] 2022-07-26
[4] 웹사이트 https://db.history.g[...] 2022-07-27
[5] 웹사이트 https://sillok.histo[...] 2022-07-27
[6] 웹사이트 https://sillok.histo[...] 2022-07-26
[7] 웹사이트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8] 서적 『고종시대사 6』(History of Gojong's Period 6) 국사편찬위원회(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9] 서적 『고종시대사 6』(History of Gojong's Period 6) 국사편찬위원회(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0] 서적 Beautiful as the Rainbow: Nashimoto Masako, a Japanese Princess against All ...
[11] 웹사이트 Cultural Heritage, the source for Koreans' Strength and Dream http://jikimi.cha.go[...] 2013-09-02
[12] 웹사이트 Emperor Sunjong of Korea http://asianhistory.[...] 2013-09-02
[13] 서적 Korea's Last Emperor's Goodbye: Korea Annexed by Japan 1915
[14] 일반
[15]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16] 논문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17] 웹사이트 https://db.history.g[...] 2022-07-04
[18] 웹사이트 純宗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9] 웹사이트 王公族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 웹사이트 じゅんそう【純宗 Sun‐jong】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2022-07-02
[21] 서적 『朝鮮王朝実録』
[2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前韓帝封王
[23] 일반
[24] 뉴스 고종 황제가 순종에게 내려준 호, '正軒'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7-30
[25] 서적 고종실록
[26] 서적 고종실록
[27] 서적 고종실록
[28] 서적 순종실록
[29] 서적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30]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